DBMS/Redis

Redis 설치 및 간단한 동작

코드깎는머슴 2024. 9. 9. 00:59
728x90
반응형

Redis 설치 및 간단한 동작

 

 

 

여태 개발 공부하면서 참 많이 들어온 Redis

한 번도 안써봐서 드디어 한 번 써본다.

근데 돈은 없으니까 최대한 돈 안쓰는 걸로 한다.

 

 

1. ec2 이용

aws 콘솔에 회원가입 후에 들어가자.

ec2를 검색하고,

ec2 > 인스턴스 > 인스턴스 시작 순으로 이동한다.

 

설정은 순서대로

이름 : study-redis

애플리케이션 및 AMI : ubuntu 22.0.4 LTS

인스턴스 유형 : t2.micro

키페어 : 새 키페어 생성 > 이름 아무거나(난 main), RSA, .pem > 키 페어 생성

네트워크 설정 : 초기상태 그대로

스토리지 구성 : 15GIB

 

이 상태로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

 

 

git bash를 키자(맥은 터미널, 윈도우는 따로 설치해야 한다고 한다.)

 

순서대로 입력

cd ~/Desktop (pem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, 특정 위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님)

chmod 400 (본인 pem파일 이름).pem (권한 부여 명령어)

 

여기서, 본인의 인스턴스에 마우스 우클릭 > 연결 > ssh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면 ssh 명령어가 나온다.

해당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.

ssh -i (키 페어 이름).pem ubuntu@ec2-아이피 ~~~~

첫 접근 시 경고문이 나오는데 yes를 입력하면 된다.

 

 

 

2. redis 서버 설치

sudo apt update

sudo apt install redis-server

 

redis는 기본적으로 6379 포트를 이용하고,

처음 설치 시 외부에서의 접근이 모두 막혀있다.

 

설치가 끝나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실행된다고 한다.

상태를 확인하고 싶으면 sudo systemctl status redis-server 입력

그러면 상태에 따라 구동 중일 땐 active, 종료됐을 땐 inactive로 알려준다.

 

서버 종료 : sudo systemctl stop redis-server

서버 시작 : sudo systemctl start redis-server

 

현재 가동 중인 redis 서버 터미널에 접근하려면 redis-cli 입력

접근되면 IP:포트 > 형태로 바뀌는데, set 명령어를 통해 키-밸류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.

예시 : set a(키) 1(밸류)

 

get은 조회

예시 get a(키)

 

exit 명령어로 서버 터미널에서 탈출할 수 있다.

 

728x90
반응형